티스토리 뷰
날씨가 급격하게 따뜻해지면서 이제 곧 수영장이나 워터파크 방문하실 일이 많으실 텐데요, 그럴 때마다 따라오는 질병이 있습니다. 바로 유행성 결막염인데요. 오늘은 유행성 결막염 증상과 치료, 격리기간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유행성 결막염

유행성 결막염은 아데노 바이러스에 의해 결막에 생긴 급성 염증성 결막질환으로 주로 봄과 가을에 유행합니다.
유행성 결막염은 전파력이 매우 강하고 주로 비수막 접촉을 통해 전파되며 감염자의 분비물이 다른 사람의 결막에 닿으면 전염될 수 있습니다.
유행성 결막염 증상

눈 충혈 - 결막에 염증을 일으켜 눈이 붉게 변합니다.
많은 눈곱 - 감염 때문에 눈에서 나오는 분비물이 눈곱 형태로 눈꺼풀에 위에 붙게 되며 노란색, 초록색, 백색을 띱니다.
눈 가려움 - 눈꺼풀 위에 붙어 있는 눈곱으로 가렵고 불편할 수 있습니다.
눈꺼풀 부종 - 간혹 눈이 붓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물감 - 이물감은 눈에 먼지등과 같은 이물질이 눈에 닿거나 들어가 발생합니다. 결막염으로 인해 눈에 부종이 발생하면 이물질이 더 잘 들어갈 수 있습니다.
림프절비대, 발열 - 간혹 귀 앞이나 턱 밑 림프선이 비대해지거나 인후염 증상과 전신발열이 동반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ㅎ
대체로 한쪽 눈이 감염되면 2~7일 후 다른 쪽 눈도 감염될 확률이 매우 높다고 하며 두 번째로 감염된 눈의 증상은 경미하다고 합니다.
유행성 결막염 치료

유행성 결막염의 바이러스는 끊임없이 변형을 일으키기 때문에 효과적인 치료제가 없습니다.
보통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되는 대증치료를 하고 2차적인 세균감염을 막기 위한 항생제와 소염제를 사용합니다.
초기에는 냉찜질이 증상완화에 도움이 되기도 합니다.
유행성 결막염 격리기간

유행성 결막염의 전염력은 상당히 강한 편입니다. 잠복기는 대개 1주일 정도이며 최대 2주 동안 전염성이 강하므로 조심해야 합니다.
콘택트렌즈는 절대 착용하지 말고, 공공장소, 학교 등 집단장소는 피해야 합니다.
직접적인 접촉뿐만 아니라 간접 접촉을 통해서도 전파될 수 있으므로 환자가 만진 손잡이. 물건을 통해 쉽게 전염될 수 있습니다.
특히 가족 중 환자가 있다면 세면도구는 개별적으로 사용하고 손으로 얼굴 주변을 만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유치원이나 학교 격리 기간은 통상적으로 7일 정도라고 합니다.
마치며
유행성 결막염에 걸리면 안과 진료를 통해 정확히 진단받고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그리고 결막염의 전파를 최소화하기 위해 개인위행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합니다.
만약 치료를 방치할 경우 합병증의 위험이 커질 수 있으므로 짧은 기간 안에 치료받는 것이 좋습니다.
눈이 보내는 건강경보 13가지(색깔,눈꺼풀,시야이상증상으로 질병체크)
'눈은 마음의 창' 뿐만 아니라 '눈은 우리 몸의 건강상태를 짐작할 수 있는 창'이라는 것이 과학적으로도 증명되고 있어요. 어떠한 질병이나 이상이 생기면 눈을 통해 먼저 나타나기도 하는데요.
vampire0901.tistory.com
'유익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풍 도시락 예쁘게 싸는법, 용기 (0) | 2024.05.17 |
---|---|
올리브영 오늘드림 픽업 반품(세일, 할인쿠폰) (0) | 2024.03.28 |
헛개나무차 효능 잘못먹으면 부작용(제대로 먹는 방법) (0) | 2024.03.13 |
코골이 방지기구,치료법,원인(양압기,구강내장치,기도,양악확장수술) (0) | 2024.03.02 |
얼굴 점 위치별 관상(내점은 복점? 흉점?) (1) | 2024.02.23 |